비즈니스ㆍ경영

    메타버스, 10대들을 위한 것일까? 메타버스 경험율

    메타버스란 가상 세계, 초월을 의미하는 미터(meta)와 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를 조합한 신조어로,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가 융복합된 확장 가상 세계를 말한다. 메타버스는 인터넷만 있으면 모든 디지털 가상 세계로 들어갈 수 있다. ‘마인크래프트’ 게임에서는 직접 집을 짓고 자연을 조성하며 자신만의 특별한 가상공간을 만들어 내며, ‘제페토’에서는 자신만의 캐릭터를 만들어 가상 친구, 가상 쇼핑을 통해 대리만족을 느낀다고 한다. 최근 10대에서는 그들만의 놀이터에서 게임뿐만 아니라,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소통하고 서로에게 보여지는 아바타를 꾸미기 위해 실제 화폐로 아이템을 구입하며, 커스텀 대행 거래까지 이루어지는데, 그들의 놀이터가 바로 ‘메타버스’이다. 게임에서 메타버스가 가장 효과적..

    대한민국 초고령사회 진입 임박 ! 고령인구 비율

    현재 추세대로면 3년 뒤 내인 고령인구가 1,000만 명을 돌파하며, 고령인구 비율도 20% 선을 뛰어넘는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이대로라면 한국은 2025년에 초고령사회로 진입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유엔 기준으로 고령인구는 65세 이상 인구이며, 고령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리됩니다. 현재 대한민국은 14% 이상을 차지하는 고령사회에 속합니다. 내국인 고령인구는 2030년 1287만명에서 2040년까지 1698만 명으로 급증할 것이 예상되며, 향후 20년 동안 고령 내국인은 2배가 넘게 늘어난다고 합니다. 고령화, 고령, 초고령 사회를 나눈 기준인 고령인구 비중도 2025년에는 20.6%로 전망..

    로봇이 모든 것을 대체할 수 있는가? 저출산과 인공지능

    인구 절벽의 현실화, 생산가능인구 축소로 생산가능인구는 50년 후 현재의 절반 수준 예측되며 인구 구조 변화라는 문제에 직면해 있음. 시장에선 인공지능(AI)과 로봇이 이에 대응할 수 있다고 봄. 고령화가 시작된 선진국들은 자동화 및 로봇 기술을 적극 도입 중. 국제로봇 연맹(IFR)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세계에서 활동하는 산업 로봇은 301만5000유닛(unit)으로 2010년 대비 3배 정도 증가함. 로봇의 장점으로는 1. 사람보다 정확하고 생산성이 높다 2. 24시간 일할 수 있고, 임금협상 또는 복리 후생 등의 노사 갈등 없다. 3. 산업재해 및 복리 비용이 이론적으로 0이다. 세계적 미래학자 제이슨 솅커 프레스티지 이코노믹스 회장은 로봇을 통해 인류가 행복을 얻는 세계를 ‘로보토피아’라고 부..